의료계 연관성 의혹

1973년 월터 리드 육군연구소에서 환청이 만들어졌다?

리모트 마인드 2022. 11. 12. 13:46
반응형

<美 월터리드 육군병원 100년 역사 마감>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미국의 대표적 군(軍) 병원인 월터 리드 육군병원이 100여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문을 닫는다.

23일 AP통신을 비롯한 미국의 주요 언론에 따르면 1909년 수도 워싱턴D.C. 근교에 세워진 월터 리드 병원은 1차대전에 참전해 부상당한 군인에서부터 최근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참전 용사들에 이르기까지 100년 넘게 부상 군인과 민간인의 치료를 담당해왔다.

 

 

원문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10723067700071

 

 

월터 리드육군 병원이 나오지만 다른 기사를 보면 육군 연구소도 있다고 나온다.

미국 국방부 산하 월터리드 미육군 연구소(Walter Reed Army Institute of Research)
 
 
 미국육군의 유행성출혈열 연구비 (제19화)
  - 제3장- 유행성출혈열과 들쥐와의 전쟁1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는 데 골몰하던 나는 월터리드 미국육군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그곳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당시 월터리드 미국육군연구소의 바이러스연구부장에는 부셔 대령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나의 미네소타대학 유학시절 나의 지도교수였던 쉬러 교수 밑에서 나에 이어 두 번째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었다. 따지고 보면 나의 대학원 후배였던 셈이다. 학문의 세계에서도 인간관계 특히 선후배관계는 역시 중요했다.
 
그는 나를 유달리 친절하게 대해 주었다. 고민하고 있던 내게 왜 한국에서 유행성출혈열(出血熱)에 대한 연구를 하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일본 토쿄(東京) 시 근교에 있는 미국육군연구개발부 극동사령지부에 연구비를 신청해 보라는 귀띔도 해주고 주소도 알려 주었다.
▲ 유행성출혈열 연구비는 미국육군성에 받았다 / 1977년 미국육군의학 연구 및 전염병dsurnth에서 유행성출혈열 연구 책임자인 후렌치 중령(오른쪽)과 함께
 
 

미국육군의 유행성출혈열 연구비...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는 데 골몰하던 나는 월터리드 미국육군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그곳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당시 월터리드 미국육군연구소의 바이러스...

www.graphys.co.kr

 

그리고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에서 故. 명주완이라는 사람에 대한 자료를 발견했다.
 
명주완 교수는 해방 직후 가장 먼저 정신과 의사들을 규합하고 정신의학계의 원로인 심호섭을 회장으로 ‘조선신경정신의학회’를 조직하였다. 그는 한국전쟁 도중 군에 입대하여 군진정신의학 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195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임시수도 부산에서 개교하자 군에 있으면서 외래 교수로 강의를 하였다. 1952년에는 한국군의관 도미 과정의 하나로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 6개월간 연수하였으며 1956년 중령으로 5년간의 군 생활을 접고 제대하였다.
 
 
마인드 컨트롤 무기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하는 군사무기.
Allan H. Frey가 발견한 마이크로 웨이브 청각 효과(Frey효과)가 그 원리
 
 
ADS(Active Denial System)도 군사무기. (이웃집을 매수해서 통증을 주는 전파를 쏘는 건
군사용인 95GHz보다 대역대가 훨씬 낮아야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투과할 수 있다. 300MHz~3.0GHz?)
 

 

그리고 전자파 과민증의 증상이 미국판과 프랑스판이 다르던데,
프랑스판에 실린 내용을 기재해보면 다음과 같다.
 
 

보고된 증상은 다양하며, 이는 다른 질환이나 질병과 관련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WHO 에 따르면 , 전자기 과민성은 "개인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증상이 전자기장에 노출되는 것으로 특징 지어진다. 가장 자주보고 된 증상은 피부 증상 (발적, 따끔 거림 및 레코딩 감각), 신경 쇠약과 식물 증상 (피로, 피로, 집중 곤란, 현기증, 오심, 심계항진 및 소화 장애)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중. 증상이 세트는 인식 증후군의 일부가 아닌 8 . "

가장 자주 인용 증상은 얼굴에 피부 문제, 머리 무거움의 느낌, 눈 자극, 막힘 또는 코 막힘, 두통, 집중력의 어려움 이어, 피로이다 (11) . 다른 저자들은 수면 장애, 두통, 긴장 / 불안, 피곤함, 집중력 장애, 이명 , 현기증, 팔다리 통증을 내림차순으로 설명 합니다 ...

이 저자들은 남성과 여성이 쓴 증상 사이의 차이점을 관찰하지 않습니다. Schüz et al. (2006), 가장 자주 인용 증상이 집중 어려움 뒤에 피로, 수면 장애, 피로, 기분이 좋지 않은, 의식 불명이고, 두통 (12) .

전기 감응성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일시적인 증상은 만성으로 진화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13 , 14  :

  • 육체적인 고통 (몸, 따끔 거림 전기 방전 인쇄, 시간적 영역에 귀 뜨거운 쏘는 감각의 감각 "두개골의 압력,"메스꺼움, 목 "꽉", 두통 ...)
  • 심리적 (불안, 우울 상태);
  • 무력증 (피로), 식욕 상실, 불면증 , 근육통, 불편 함;
  • 소화 장애, 호르몬 조절 장애, 면역 저하 ( 독감 유사 상태 );
  • 피부병 문제 : 붉어짐, 피부 붓기, 가려움증, 눈 자극, 기관 상부 건조증.
  • 호흡 곤란 , 심장 리듬 장애 (심계항진), 혈관 문제 (고혈압, 추위 또는 고열 감각), 발정  ;
  • 근육 긴장 이상 (비자발적 인 수축), 관절 크런치 , 유양 돌기 또는 상악 턱밑 수준에서의 "crispation"감각, bruxism  ;
  • 냄새 민감도, 시각 장애, 청력 손실 ( 이명 ), 고주파수 (잡음에 대한 민감도 증가) 15
  • 어색함, 언어 및 추론의 어려움, 주의력 부족 및 단기 기억, aboulie  ;
  • 정서적 인 삶의 혼란, 무관심 , 사회적 격리, 과민 반응;

 

 
 저 위에 언급된 증상 모두 낯이 익은데,
microwave sickness의 증상과 같아보인다.
아바나 증후군=microwave sickness
 
 
 
조직스토킹 피해자가 무조건 조현병으로 진단되는 이유가 뭘까?ㅎ
반응형